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66

Global EHS(환경·보건·안전) 패러다임 전환 Global EHS(Environment, Health and Safety, 환경·보건·안전)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수동적 법규 준수(compliance) 중심의 기능으로서 존재했다면, 현재와 앞으로는 운영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핵심 기능으로 진화하고 있다. Global EHS 패러다임이 어떻게 전환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과거의 EHS 패러다임은 Compliance 관점의 환경/보건/안전 법규 준수와 대내외 보고에 국한되어 있었다. EHS 기능 자체가 매출을 증대하거나 업무 효율성 극대화하는 역할이 아니라, 법규 준수와 보고에만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였다. 조직 관점에서는 EHS 부서는 타 부서와 교류가 없는 Silo 부서로서 동작했고, 경영관리도 EHS Compli.. 2022. 10. 8.
Digital Transformation의 3가지 전략적 방향성 몇 년전에 언론과 기업, 사회에서 회자되던 4차 산업혁명(4th Industrial Revolution)이라는 용어는 요즘에 많이 사용하지는 않은 사장된 언어가 되었다. 이제 세상은 혁신적인 현상이 더욱 혁신적인 현상에 의해 쉽게 진부해지고 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일테다. 그러나 Digital Transformation,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라는 용어는 몇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여러 기업과 언론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먼저 Transformation이라는 용어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필자의 이전 블로그에도 아래와 같이 정의를 했다. A transformation is a profound change in strategy, business model, organization, people and p.. 2022. 10. 5.
Value-Up을 위한 최적의 Enterprise System 구성 개요 필자는 컨설팅을 통해 한 기업을 Value-Up하기 위해 4가지 도구를 활용한다. 거창하게 도구라고 말을 했지만, 아주 단순한 도구이다. 조직(People), 정책(Policy), 프로세스(Process), 시스템(System)이 바로 그것이다. 결국 기업은 끊임 없이 변해가는 생물이자 여러 사람들이 서로의 R&R을 정하여 약속된 업무를 수행하여 성과를 내어야 하는 조직체이다. 따라서 임직원들에게 업무를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 조직구조와 R&R의 정립이 필요하며, 그들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규정/정책/ 매뉴얼을 정의하여 전사에 공유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업무와 업무 간에 연계성과 연결고리를 명확하여, 사람이 교체되더라도 연속성 있는 기업 활동을 위해 프로세스의 정리.. 2022. 8. 15.
Post-COVID19 시대, 글로벌 CIO의 핵심 Agenda 2020년부터 COVID-19으로 글로벌 기업의 C-Suite는 전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에 직면해 있다. 일례로 재택 or 원격근무에 익숙하던 MZ세대들이 갑자기 출근하게 되었을때, 그들을 기존 질서에 어떻게 적응시키고 유지할 수 있을까. 전사 IT와 디지털을 총괄하는 CIO 역시 마찬가지이다. COVID-19 이후 시대에 글로벌 CIO는 어떤 agenda를 갖고 있을지 4가지 관점에서 살펴보자. #1. 고객에 대한 이해: "기술을 아는 만큼 고객도 알아야 한다" 글로벌 CIO Agenda 중 첫번째는 바로 "고객"이다.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고객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IT 역량이 중요해지는 시대이며, 기술을 아는 만큼 고객에 대해서도 이해해야 한다. 많은 기업에서 영업/마케팅 부서가.. 2022. 8. 15.
[Valuation #12] 기업가치 계산하기 (끝) 이제 기업가치를 계산하기 위한 기본적인 개념은 모두 다뤘다. 결국 기업가치 계산은 분자인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FCF)를 분모인 가중평균 자본비용(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WACC)으로 나눠주면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n년도까지 현금흐름을 추정해서 현재가치로 할인하면 어떻게 될까? 아래와 같이 일정 기간이 지나는 현금흐름을 할인하면 0에 수렴하는 결과가 나온다. 따라서 무한대까지의 현금흐름을 추정하는 것은 어렵기도 하거니와 0에 수렴하는 현재가치가 나오므로 효과적이지 않다. 따라서 기업가치 산출하기 위해서 미래 특정기간의 현금흐름을 예측하고, 이를 할인하여 현재가치를 계산한다. 예측 이후 기간에 대해서 추정의 오류를 피하기 위해 영구성장모델(Per.. 2022. 7. 15.
대기업의 CVC(Corporate Venture Capital) 운용 동향과 목표 2021년 글로벌 M&A 시장은 5.8조 달러로 전년대비 62% 성장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전통적인 M&A 영역인 기업과 사모펀드의 M&A는 47% 성장했으며, 재무적 투자(FI) 관점의 M&A는 77% 성장했다. 특이한 점은 VC와 CVC를 통해 스타트업 대상의 M&A가 94% 성장했다는 점이다. 사실 CVC(Corporate Venture Capital)이라고 불리는 기업형 벤처캐피탈은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스타트업을 통한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CVC를 설립해서 활발하게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4월 공정거래위원회에서 CVC 업계 간담회를 개최해서 일반지주회사의 CVC 보유 허용을 완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국내 대기업도 CVC나 in-house 투자 .. 2022. 7. 3.
글로벌 ESG 트렌드 2022년 IDC에서 발간한 'Worldwide Trends in ESG Metrics, Measurements, and Methodologies 2021'에서 글로벌 ESG 트렌드에 대해 조사했다. 글로벌 기업들은 ESG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시사점 위주로 살펴보도록 하자. 먼저 조직의 ESG 운선순위로 비즈니스 전략과 내부 운영(HR, 재무 등)에 ESG를 접목한다는 응답이 70% 정도를 차지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전략부터 운영까지 전방위적으로 ESG를 조직 내에 내재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역마다 조금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아시아와 유럽 지역은 전략에의 접목에, 아메리카 지역은 내부 운영에의 접목에 집중하고 있다. 기존에 기업들은 ESG 등급과 중요성(Materiality)을 중심으로.. 2022. 7. 2.
다국적 기업 지배구조 분석 최근에 유럽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한 검토를 하다가 괜찮은 자료를 발견해서 아래에 공유한다. 재정지출분석센터(https://www.kipf.re.kr/)라는 곳에서 발간한 정책보고서이며, 원문은 아래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세법연구 17-08 다국적기업의 지배구조와 조세전략 분석 위의 정책보고서는 주로 조세전략 관점에서 지배구조를 살펴보았으며, 조세 전문가는 아니지만 아래와 같은 이유로 지배구조에 대한 검토를 한다고 한다. 글로벌 경영을 영위하는 다국적 기업은 해외 자회사나 계열사 간의 내부거래와 지배구조를 이용한 다양한 조세 전략을 통해 해외 소득에 대한 세부담 경감과 그룹 전체에 대한 조세부담 수준을 낮출 수 있다고 한다. 다국적기업의 현지법인을 통한 해외 진출은 지분출자를 통해 해외 .. 2022. 4. 15.
[CFO Agenda] 전략적 CFO를 위한 Finance Transformation 전략 CFO는 과거의 협의의 재무담당 책임자에서 이제는 전략적인 역할을 담당하도록 변화하고 있다. 전략적 CFO 관점에서 조직의 Finance Transformation을 위한 핵심 agenda는 다음과 같다. 앞으로 개별 Agenda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며 Finance Transformation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알아볼 예정이다. 1. 재무 전략 (Finance Strategies) 재무 혁신을 위한 전략의 식별, 정의 및 구현 1.1. 재무 전략 (Finance Strategy) 조직의 목적에 연계된 재무 혁신의 비전, 전략 및 이행계획 수립 1.2. 자본 관리 (Capital Management) 투자 의사결정 및 현금흐름 극대화에 관련된 자본 조달, 운용 및 배분 1.3. IPO (Day 1) .. 2022. 3. 21.
728x90